|
|
|
▶ 갑상선 기능 항진증 |
갑상선 호르몬은 인체의 대사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갑상선 호르몬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과다하게 분비되는 상태를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라고 말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그래이브스 병이라는 질환입니다. 이는 갑상선 자극 호르몬에 의한 자가 면역반응으로 발생합니다. 주로 30~40대 여성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증상으로 숨이 차고 손이 떨린다든지 불안감과 초조함을 호소하며 지속적인 몸무게 감소, 안구돌출등이 나타납니다.
진단은 과거력 문진, 증상 확인, 체혈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채혈 검사시 갑상선의 혈액 농도가 정상치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차적인 치료법은 약물요법이며 항갑상선제를 복용하여 갑상선의 합성 기능을 억제합니다. 약제를 꾸준히 복용하여야 하며 정기적인 채혈검사를 시행하여 약물의 농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지 체크하여야 합니다.
2차적인 치료법으로 방사성 요오드 치료법이 있습니다. 방사선 요오드를 이용하여 갑상선 세포를 일부 파괴하여 갑상선 기능을 떨어뜨리는 방법입니다. 갑상선 기능이 너무 많이 파괴되면 도리어 갑상선 기능 저항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환자분들중에 간혹 민간요법이나 건강보조식품에 의존하는 경우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거 없는 치료에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게 되면 제 때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
|
|
|
|